이번 글에서는 학점을 계산할 수 있는 학점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고등학교 때는 수우미양가로 성적표를 받지만 대학교 때는 ABCD로 성적표를 받습니다. 그리고 중고등학교 때는 만점이 100점이었지만 대학교 때는 4.5 혹은 4.3이 만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교에서 처음 성적표를 받으면 헷갈릴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학점을 기준으로 장학금이나 다른 해택을 받을 수 있는데 이때 학점을 계산해 본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네이버에서 제공을 하고 있는 학점계산기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그럼 학점계산기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 학점계산기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네이버 학점계산기로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해 보겠습니다.
학점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학점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위 링크를 클릭하지 않고 네이버에서 "학점계산기"라고 검색을 해도 됩니다.
위 사진은 네이버 학점계산기의 화면입니다. 여기에서 과목과 점수, 학점 등을 입력하고 "계산"버튼을 클릭하면 학점을 계산해 줍니다. 과목은 수업의 이름을 입력하면 되고 점수는 성적표에 표시된 성적을 선택하면 됩니다. 학점은 해당 수업이 몇 학점 짜리 수업인지 입력하면 되고 해당 수업이 전공이라면 전공 체크박스를 체크하면 됩니다.
저는 위 사진과 같이 입력을 해봤습니다. 4.5 만점 기준으로 입력을 했는데 혹시 본인 학교의 기준이 4.3이 만점이라면 4.3 만점기준으로도 계산이 가능하니 상단의 "4.5 만점"부분은 "4.3 만점"으로 변경하고 계산을 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입력한 수업 중 전공 수업이 있다면 전공 체크박스에 위 사진과 같이 체크를 하시면 됩니다. 본인의 수업 과목과 점수, 학점 등을 입력을 했으면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해 계산을 진행합니다.
계산 결과가 위 사진과 같이 나왔습니다. 이 계산기에서는 총 평점, 전공평점, 이수학점, 전공이수에 대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전공을 왜 체크를 하는지 몰랐는데 결과를 보니 전공평점과 전공이수까지 계산을 하기 위해서 체크를 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만점이 4.0 기준, 4.3 기준, 100점 기준의 점수도 보여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계산기는 간단하게 계산을 할 수 있는 웹 계산기로 학점변환 결과는 일반적인 변환식을 적용했다고 합니다. 각 학교마다 학점을 계산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는 학교의 학적과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냥 참고용도로만 사용하시기를 바랍니다.
간단하게 몇 가지만 입력을 하면 손쉽게 학점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급을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시급계산기 (0) | 2022.12.29 |
---|---|
퍼센트 계산기 사용해 보기 (0) | 2022.12.27 |
부동산 중개 수수료 계산기 사용하는 방법 (0) | 2022.12.24 |
컴퓨터 윈도우 10 포맷 초기화 하는 법 (0) | 2022.12.23 |
윈도우 10 시디키 제품키 조회 확인 방법을 알아봅시다 (0) | 2022.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