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조건과 지급기준, 주휴수당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난번에 2023년 최저임금에 대한 글을 작성했었는데 그 글에서 이어지는 글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지난 글인 2023년 최저임금을 알아보실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2023년 최저임금 최저월급 얼마일까, 최저임금 계산기
이번 글은 2023년 최저임금에 대해서 알아보는 글입니다. 매년 8월경에 내년의 최저임금이 발표가 되는데 많은 사람들이 이 발표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최저임금에 관심을 가지고
jisikhub.tistory.com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이란 근로자가 유급 주휴일에 받을 수 있는 수당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에는 사용자는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수를 개근한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유급휴일에 받는 것을 주휴수당이라고 합니다.
제55조(휴일)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
제18조(단시간 근로자의 근로조건) 3항 - 4주 동안(4주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평균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제55조와 제60조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위와 같이 근로기준법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 근로기준법을 토대로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을 한 근로자에게 근로로 인한 피로를 풀기 위하여 하루의 주휴일을 주게 되어 있고 이 주휴일은 유급휴일로 보장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용자는 주휴일에 통상적인 근로일의 하루치 임금을 주급과 별도로 산정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고 지급된 사실을 사전에 통보해야 합니다. 그리고 주휴일은 딱히 정해져 있는 요일이 없기 때문에 반드시 일요일이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주휴수당 지급기준
근로자가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지급 규정은 아래의 3가지 조건입니다. 이 3가지 조건만 충족이 된다면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일주일 동안 최소 15시간 이상 근무
- 소정근로일 동안 결근 없이 모두 개근
- 주휴수당 발생 다음 주에도 계속하여 근무
일주일 동안 최소 15시간 이상 근무
상시 근무자이든 단기 근무자이든 관계없이 일주일에 최소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무조건 지급돼야 합니다. 근무 일수와는 무관하게 일주일에 1~2일 근무를 하더라도 15시간 이상 근무를 한다면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소정근로일 동안 결근 없이 모두 개근
고용주와 사전에 근무하기로 약속했던 소정근로일 동안 결근 없이 근무를 해야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근로자의 개인 사정으로 인해 결근을 하게 된다면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고용주의 사정이나 공휴일로 인해 근무를 하지 않았다면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발생 다음 주에도 계속하여 근무
주휴수당은 다음 주에도 열심히 근무를 해달라는 의미로 주휴일에 지급하는 수당이므로 다음 주에도 근무를 해야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번 주가 근무의 마지막이라면 이번 주 주휴수당은 지급받을 수가 없습니다.
주휴수당 계산방법
주휴수당은 일당으로 계산이 됩니다. 보통 1일 "소정근로시간 x 시간급"으로 계산을 합니다. 주휴수당은 주 5일 근무를 기준으로 5일 동안 근무를 한 임금에 휴일인 1일 급여를 별도로 더 지급해주는 개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정근로시간 40시간 기준으로 좀 다르게 계산이 됩니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주 40시간 근무
- 주휴수당 = 8시간 x 시급
- 주 40시간 미만 근무
- 주휴수당 = (일주일 총 근무시간 / 5) x 시급
위 계산식처럼 주 40시간 근무를 한 근로자와 주 40시간 미만 근무를 한 근로자의 주휴수당은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의 근무시간을 잘 확인해서 계산을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다양한 사이트에서 주휴수당 계산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 글에서는 네이버 임금 계산기를 이용해서 주휴수당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게 되면 네이버 임금 계산기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주휴수당 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위 링크를 클릭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네이버 임금 계산기의 화면입니다. 여기에서 주휴수당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에서 빨간 박스로 표시되어 있는 "선택 근무시간"부분을 클릭해서 선택해 줍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화면이 변경이 되고 여기에서 본인의 시급과 하루 근무시간, 한주 근무규정, 한주 근무일수를 입력합니다. 본인에게 맞는 정보를 입력했으면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 사진과 같이 계산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이 계산 결과에서 "예상 주휴 시간"과 "예상 주휴수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예상 주휴수당"이 포함된 "예상 주급" 또한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주휴수당에 관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윈도우 10 포맷 초기화 하는 법 (0) | 2022.12.23 |
---|---|
윈도우 10 시디키 제품키 조회 확인 방법을 알아봅시다 (0) | 2022.11.16 |
2023년 최저임금 최저월급 얼마일까, 최저임금 계산기 (0) | 2022.10.20 |
Zoom PC 버전을 다운로드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0) | 2022.09.07 |
유용한 크롬 확장 프로그램 추천 4가지 (0) | 2022.07.27 |